목차 리눅스 MariaDB 로그 활성화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MariaDB 로테이션 로그 설정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ln 소프트 및 하드링크 생성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mount 현재 마운트된 디스크 목록 출력 예제 리눅스 mount 마운트된 디렉토리 출력 예제 리눅스 MariaDB 로그 활성화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MariaDB 데이터베이스의 로그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학습할 수 있습니다. 로그는 데이터베이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때문에 받드시 활성화가 필요합니다. 예를들어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어떤 SQL 쿼리로 인해 오류가 발생했다면 이미 시간이 지나버린 이상 어떤 쿼리로 인해 문제가..
목차 리눅스 NFS 네트워크 파일시스템 서버 구성하기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NFS 네트워크 파일시스템 클라이언트 구성 및 마운트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MariaDB 루트 비밀번호 초기화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df 현재 연결된 디스크 종류 확인 및 출력 예제 리눅스 df 파티션 경로 및 종류 출력 예제 리눅스 NFS 네트워크 파일시스템 서버 구성하기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이전 포스팅을 통해 리눅스 NFS(Network File System)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파일시스템 서버를 어떻게 구성하는지 학습합니다. NFS를 통해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고 접근할 수 있으며, 이는 여러 시스템 간 파일 공유를 용이하게 만들어줍니다.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큰 장점..
목차 우분투 MariaDB 설치 및 계정 생성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우분투 MariaDB 쿼리 로그 설정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우분투 MariaDB 로테이션 로그 설정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MariaDB 루트 계정 비밀번호 분실시 권한 오류 발생 예제 Mysql 서비스 종료 및 테이블 권한 해제 후 안전모드 실행 예제 MariaDB 루트 비밀번호 초기화 및 mysql 서비스 재실행 예제 우분투 MariaDB 설치 및 계정 생성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MariaDB는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데이터 저장 및 관리에 사용됩니다. MariaDB를 우분투에 설치하고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내용입니다. 오늘 예제를 진행하기에 앞서 우분투 환경..
목차 리눅스 우분투 아파치 소스코드 빌드 및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서비스 데몬 등록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NFS 서버 구성하기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NFS 클라이언트 패키지 설치 예제 리눅스 우분투 NFS 마운트 예제 리눅스 우분투 아파치 소스코드 빌드 및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에서 아파치 웹 서버 소스코드를 빌드하고 설치하는 과정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자세히 익힐 수 있습니다. 아파치 소스코드 빌드는 소스코드를 컴파일하고 실행 가능한 바이너리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웹 서버를 커스터마이징하거나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빌드된 아파치 웹 서버를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2023.08...
목차 리눅스 우분투 자바 개발도구 JDK8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아파치 소스코드 빌드 및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서비스 데몬 등록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NFS 서버 패키지 설치 예제 리눅스 우분투 NFS 서버 환경 설정 및 서비스 시작 예제 리눅스 우분투 자바 개발도구 JDK8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에 JDK 8을 설치하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익힐 수 있습니다. JDK 8은 자바 개발을 위한 필수 도구로,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컴파일하고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설치 후에는 환경 변수 설정을 통해 시스템 전역에서 JDK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2023.08.10 - [Linux] - [..
목차 리눅스 우분투 로컬 레포지토리 설정 및 패키지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서비스 데몬 등록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telnet 명령어 시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아파치 소스코드 다운로드 예제 리눅스 우분투 아파치 소스코드 빌드 및 설치 예제 리눅스 우분투 로컬 레포지토리 설정 및 패키지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로컬 레포지토리는 우분투 시스템에서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되는 저장소입니다.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로컬 레포지토리를 설정하고 패키지를 설치하는 방법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컬 레포지토리를 사용하면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패키지 설치가 가능하며, 속도와 보안 면에서 이점을 가집니다. 해당 내..
목차 리눅스 우분투 MariaDB 서버 및 클라이언트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자바 개발도구 JDK8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안드로이드 SDK 다운로드 및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SDK Manager 업데이트 및 platform-tools 다운로드 예제 리눅스 우분투 SDK Manager 구글 이미지 다운로드 예제 리눅스 우분투 MariaDB 서버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MariaDB는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우분투 리눅스에서 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MariaDB 서버 설치하는 예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riaDB 서버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
목차 리눅스 우분투 자바 개발도구 JDK8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javac 자바 소스코드 컴파일 및 실행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crontab 일정 주기로 스크립트 실행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안드로이드 SDK 다운로드 예제 리눅스 우분투 안드로이드 SDK 압축 해제 예제 리눅스 우분투 자바 개발도구 JDK8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자바 개발을 위해 필요한 JDK(Java Development Kit) 8을 리눅스 우분투에 설치하는 방법을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학습해주세요. JDK는 자바 개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필수 도구로, 개발자들은 해당 버전의 JDK 설치 과정 등 상세한 예제가 포함되어있습니다. JDK 설치 후, 자바..
목차 리눅스 우분투 MariaDB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MariaDB 데이터베이스 로그 활성화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top 프로세스의 CPU, 메모리 사용량 조회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MariaDB 로그 로테이션 위한 사용자 생성 예제 리눅스 우분투 MariaDB 로그 로테이션 설정 예제 리눅스 우분투 MariaDB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오늘 예제 실행에 앞서 이전 포스팅에서 리눅스 우분투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인 MariaDB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MariaDB는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로서, 우분투 환경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해당 예제는 시스템에 MariaDB를 설치하는 단계와 설치 후..
목차 리눅스 adduser, deluser 사용자 추가, 삭제 및 목록 확인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sudo 사용자 관리자 권한 부여하기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tail 텍스트 파일 실시간 내용 확인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MariaDB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MariaDB 데이터베이스 로그 활성화 예제 리눅스 우분투 MariaDB 로그 확인 예제 리눅스 adduser, deluser 사용자 추가, 삭제 및 목록 확인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관리는 보안을 위해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adduser와 deluser 명령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추가하고 삭제하는 예제를 알아보았습니다. 또한..
목차 리눅스 우분투 passwd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다른 사용자 로그인 명령 su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lastlog 시스템 로그 확인하기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MariaDB 서버 및 클라이언트 패키지 설치 예제 리눅스 우분투 MariaDB 데이터베이스 계정 생성 예제 리눅스 우분투 passwd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보안을 강화하려면 정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passwd 명령을 사용하여 리눅스 우분투에서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예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리눅스 쉘에서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비..
목차 리눅스 grep 파일 내용 가져오기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find 명령으로 파일 검색하기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find 및 date 명령으로 특정 시점 및 용량으로 파일 복사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find 명령으로 시스템 디렉토리 검색시 ""Permission denied"" 문구 출력 문제 예제 리눅스 /dev/null로 오류 메세지 포워딩 예제 리눅스 grep 파일 내용 가져오기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의 명령줄 도구 중 하나인 grep 명령은 파일 내용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다재다능한 도구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grep 명령을 사용하여 파일에서 특정 내용을 검색하고 추출하는 예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로그 파일을 분석하거나 특정 패턴을..
목차 ps 명령어란? ps 명령어의 주요 옵션 ps 모든 프로세스 목록 표시 예제 특정 사용자의 프로세스만 표시 예제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트리 구조 표시 예제 1. ps 명령어란? ps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정보를 조회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프로세스의 ID, 상태, 자원 사용량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ps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자주 사용합니다. 프로세스 모니터링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목록을 확인하여 시스템의 상태와 성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각 프로세스의 상태,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등을 확인하여 시스템의 부하나 리소스 사용량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문제 진단 시스템이 느려지거나 응답하지 않는 경우, 어떤 프로세스가 리소스를 많이 사용..
특정 네임 서버를 지정하여 검색 예제 nslookup을 사용하여 특정 네임 서버를 지정하여 도메인 이름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예제입니다. 기본적으로 nslookup은 로컬 네임 서버를 사용하여 도메인 이름을 조회하지만, -query=ns 옵션과 함께 네임 서버 주소를 명시하여 다른 네임 서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nslookup -query=ns www.nate.net 위 예제에서는 "www.nate.net" 도메인 이름에 대한 네임 서버 정보를 "ns62.domaincontrol.com" 서버에서 조회합니다. nslookup을 이용한 DNS 타임아웃 설정 예제 nslookup을 사용할 때 DNS 서버로부터 응답을 기다리는 시간인 타임아웃(timeout) 값을 설정하는 예제입니다. 기본적으로 ns..
nslookup이란? nslookup은 네트워크 도구 중 하나로,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를 통해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나 역방향 조회 등의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DNS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여 인터넷에서 호스트를 식별하고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입니다. nslookup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문제 해결이나 도메인 구성 등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nslookup 명령어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옵션에 대해 알아봅시다. nslookup을 실행하면 디폴트로 로컬 DNS 서버를 사용하여 도메인 이름에 대한 정보를 조회합니다. 다양한 옵션을 사용하여 조회할 DNS 서버를 지정하거나, 타입, 클래스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nsl..
ln이란? ln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링크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링크는 원본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참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명령어를 사용하면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링크를 통해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여러 위치에서 참조할 수 있고, 파일의 내용을 공유하거나 복사본을 생성하지 않고도 파일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란? 링크 파일이 원본 파일을 참조하는 링크입니다. 심볼릭 링크는 원본 파일의 경로를 가리키며, 원본 파일이 삭제되더라도 링크 파일은 유효합니다. 또는 원본 파일을 가리키는 파일의 이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원본 파일을 참조하기 때문에 링크 파일의 크기는 원본 파일의 ..
목차 텍스트 수정 및 삭제 예제 검색 및 치환 예제 분할 창 기능 예제 설정 파일 및 확장 기능 예제 유용한 팁과 단축키 소개 1. 텍스트 수정 및 삭제 예제 vim은 강력한 텍스트 편집기로, 다양한 텍스트 수정 및 삭제 명령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효율적으로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dd 현재 행을 삭제합니다. d$ 커서 위치부터 현재 행 끝까지 삭제합니다. dG 커서 위치의 행 다음 줄부터 파일 끝까지 삭제합니다. 2. 검색 및 치환 예제 vim은 텍스트 검색과 치환 기능을 제공하여 원하는 내용을 찾고 대체할 수 있습니다. /검색어 검색어를 찾습니다. 'n' 키를 눌러 다음 검색 결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s/찾을문자열/바꿀문자열 현재 행에서 첫 번째 찾을 문자열을 바꿀 문자열로 1회 치..
목차 vim이란? 기본 사용법 편집 모드(Insert Mode) 진입하기 예제 저장 및 종료 예제 이동 및 커서 이동 명령어 예제 1. vim이란? vim은 리눅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텍스트 편집기로, vi 편집기의 향상된 버전입니다. vim은 터미널 환경에서 텍스트 파일을 효율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2. 기본 사용법 vim을 실행하려면 다음 명령을 사용합니다. $ vim [파일명] 위 명령을 실행하면 vim 편집기가 열리고 파일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명령 모드(Command Mode)에서 작업을 수행하며, 다른 모드로 전환하여 파일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3. 편집 모드(Insert Mode) 진입하기 예제 편집 모드(Insert Mode)는 텍스트를 입력하고..
목차 사용 가능한 디스크 용량 확인 예제 파티션 별 사용량 및 마운트 포인트 확인 예제 특정 파일 시스템 타입의 파티션 확인 예제 정렬된 디스크 사용량 확인 예제 주요 디스크 사용량 요약 확인 예제 1. 사용 가능한 디스크 용량 확인 예제 사용 가능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는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df -h 위 명령을 실행하면 시스템에 마운트된 모든 파티션의 용량, 사용량, 사용 가능한 공간 등을 인간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합니다. Avail 항목은 여분의 용량을 나타내고 Used는 현재까지 사용한 용량을 의미합니다. 2. 파티션 별 사용량 및 마운트 포인트 확인 예제 파티션 별 사용량과 마운트 포인트를 확인하는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df -hT 위 명령을 실행하면 시스템에 마운트된 모든..
목차 df 명령어란? 기본 사용법 전체 디스크 사용량 확인 예제 특정 디렉토리의 사용량 확인 예제 파일 시스템 타입 확인 예제 1. df 명령어란? df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현재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 상황을 보여주는 유틸리티입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에 마운트된 파티션의 용량, 사용량, 사용 가능한 공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기본 사용법 df 명령어를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df [옵션]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h: 인간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 -T: 파일 시스템 타입도 함께 출력 3. 전체 디스크 사용량 확인 예제 전체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df -h 위 명령을 실행하면 시스템에 마운트된 모든 파티션..
목차 telnet이란? telnet 서버와 클라이언트 설치 telnet 서버 설정 telnet 서버 시작 및 중지 telnet 클라이언트 사용법 1. telnet이란? telnet은 원격 호스트와 텍스트 기반으로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과 도구입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에 접속하여 원격 시스템을 제어하고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telnet은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특정 포트에 접속하여 원격 서버와 통신할 수 있습니다. 2. telnet 서버와 클라이언트 설치 telnet을 사용하기 위해선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설치해야 합니다. 리눅스에서는 일반적으로 telnet 서버인 'telnetd' 패키지와 telnet 클라이언트인 'telnet' 패키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여 다음 ..
tail로 여러개의 파일 모니터링하기 tail 명령어를 사용하여 여러 파일을 동시에 모니터링하는 예제입니다. tail -f [파일1] [파일2] ... 위의 예제에서 -f 옵션은 파일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합니다. 파일명으로 여러 개의 파일을 지정할 수 있으며, 모든 파일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출력합니다. 이를 통해 여러 로그 파일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tail 실시간 내용을 새로운 파일에 내용 추가하기 tail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에 내용을 추가하는 예제입니다. tail -f [파일명] >> [출력파일명] 위의 예제에서 -f 옵션은 파일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 연산자를 사용하여 출력 내용을 파일에 추가합니다. 이를 통해 로그 파일의 내용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하면서 동시에..
tail 명령어란? tail 명령어는 리눅스와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로, 파일의 끝 부분을 출력하거나 실시간으로 파일을 모니터링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파일의 마지막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로그 파일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tail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tail [옵션] [파일명] 옵션: tail 명령어에 적용할 다양한 옵션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파일명: tail을 적용할 파일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기본적으로는 현재 디렉토리에서 파일명을 찾습니다. 파일의 마지막 N 줄 출력하기 tail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의 마지막 N 줄을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tail -n N [파일명] 위의 예제에서 -n 옵션은 출력..
데이터 검색 및 대체 예제 GHex는 데이터 검색 및 대체 기능을 제공하여 특정 데이터를 찾고 대체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데이터 검색 및 대체를 위한 예제입니다. A. GHex를 실행합니다. B. File 메뉴에서 Open을 선택하여 파일을 엽니다. C. Edit 메뉴에서 Find을 선택하거나 Ctrl + F 키를 눌러 검색 대화상자를 표시합니다. D. 찾고자 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Find 버튼을 클릭합니다. E. 검색 결과가 표시되며 해당 위치로 이동합니다. F. Edit 메뉴에서 Replace를 선택하거나 Ctrl + H 키를 눌러 대체 대화상자를 표시합니다. G. 원하는 데이터로 대체하고 Replace 버튼을 클릭합니다. H. 대체가 완료되면 수정된 내용을 저장합니다. 위의 예제를 따라하면 GH..
GHex란? GHex는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바이너리 편집기입니다. 파일의 바이너리 데이터를 직접 편집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데이터 구조와 파일 포맷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 친화적인 GUI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Ubuntu에 GHex 설치하기 Ubuntu 리눅스에서 GHex를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ghex 위의 예제에서는 먼저 apt update 명령어를 사용하여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합니다. 그런 다음 apt install 명령어를 사용하여 GHex를 설치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GHex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기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