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정보처리기사 UML 순차 다이어그램 특성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 정보처리기사 BCNF 데이터베이스 정규형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 정보처리기사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개념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 정보처리기사 분산 데이터 시스템이란
- 정보처리기사 분산 데이터 시스템 목표(위치투명성, 중복투명성, 병행투명성, 장애투명성)
정보처리기사 UML 순차 다이어그램 특성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UML 순차 다이어그램은 시간 경과에 따른 객체나 컴포넌트 간 상호작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UML 순차 다이어그램은 객체 간의 메시지 전송 순서와 객체의 상태 변화를 시간 순서대로 보여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다이어그램은 시스템의 동작을 쉽게 이해하고 추적할 수 있게 해주며, 객체 간 상호작용을 명확하게 표현하여 개발자들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합니다. UML 순차 다이어그램의 작성법과 주요 요소에 대해 이전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뤘습니다. 해당 포스트를 참고하여 UML 순차 다이어그램의 특성을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2023.12.13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 [정보처리기사] UML 다이어그램의 순차 다이어그램 특징(제어블록)
[정보처리기사] UML 다이어그램의 순차 다이어그램 특징(제어블록)
목차 정보처리기사 ARP 스푸핑 개념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정보처리기사 SSID 개념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정보처리기사 라우터 개념 이전 포스팅 및 설명 정보처리기사 UML 다이어그램 순
salguworld.tistory.com
정보처리기사 BCNF 데이터베이스 정규형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BCNF(Boyce-Codd Normal Form)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중복성과 종속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규형 중 하나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BCNF는 함수 종속성에 기반하여 불필요한 데이터 중복을 방지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BCNF는 후보 키에 의존하는 결정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요구하여 데이터의 중복성을 최소화하며,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BCNF 데이터베이스 정규형의 목적과 특성에 대해 더 자세히 이전 포스트를 통해 알아보세요.
2023.12.13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 [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과정(BCNF 정규형)
[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과정(BCNF 정규형)
목차 정보처리기사 UML 순차다이어그램 특성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정보처리기사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개념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정보처리기사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개념 이전 포스팅
salguworld.tistory.com
정보처리기사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개념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는 분산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는 메시지를 통해 컴포넌트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시스템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유연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비동기식 통신을 통해 효율적인 시스템 간 상호작용을 지원합니다.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의 특징과 동작 방식에 대해 자세히 다룬 이전 포스트를 참고하여 미들웨어의 개념을 더 깊게 이해해보세요.
2023.12.13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 [정보처리기사] MOM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특징(이기종 분산 데이터 시스템)
[정보처리기사] MOM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특징(이기종 분산 데이터 시스템)
목차 정보처리기사 리눅스 ARP 테이블 확인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정보처리기사 WPA 개념 이전 포스팅 및 설명 정보처리기사 리눅스 ip route 라우팅 테이블 확인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salguworld.tistory.com
정보처리기사 분산 데이터 시스템이란
분산 데이터 시스템은 여러 컴퓨터나 장치에 분산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입니다. 분산 데이터 시스템은 중앙 집중식 시스템과 달리 데이터를 분산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효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성능과 확장성을 높입니다. 아래는 분산 데이터 시스템의 목표입니다.
- 위치투명성
- 중복투명성
- 병행투명성
- 장애투명성
정보처리기사 분산 데이터 시스템 목표(위치투명성, 중복투명성, 병행투명성, 장애투명성)
분산 데이터 시스템의 목표는 위치투명성, 중복투명성, 병행투명성, 장애투명성 등을 실현하는 것입니다. 각 목표의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위치투명성
사용자가 데이터의 저장 위치를 알 필요 없이 접근할 수 있는 특성을 의미
- 중복투명성
중복된 데이터가 일관성 있게 유지. DB 객체가 중복되어있는지 알 필요가 없음
- 병행투명성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할 때 충돌 없이 결과의 일관성을 유지
- 장애투명성
시스템의 오류로부터 회복되는 능력. 장애와 무관한 원자성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