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리눅스 우분투 rsync 명령 활용 파일 또는 디렉토리 복제 동기화 예제 - 4(원격 서버 디렉토리에 파일 및 디렉토리 동기화)
- 리눅스 우분투 netstat 현재 열린 tcp 포트 목록 확인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 리눅스 우분투 pip3 uninstall 명령으로 패키지 삭제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 리눅스 우분투 crontab에 원격 서버에 rsync 명령으로 디렉토리 동기화 예제
- 리눅스 우분투 1분뒤 원격 서버에 파일들이 동기화된 것 확인 예제
리눅스 우분투 rsync 명령 활용 파일 또는 디렉토리 복제 동기화 예제 - 4(원격 서버 디렉토리에 파일 및 디렉토리 동기화)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내용을 기반으로, 원격 서버에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를 동기화하는 방법에 대한 예제를 학습해보세요. 이전 포스팅에서는 rsync 명령을 사용하여 로컬 시스템과 원격 서버 간 파일 및 디렉토리를 동기화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복제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만약 로컬 디렉토리에 저장된 파일 혹은 디렉토리들을 권한과 내용을 포함하여 모두 다른 원격 서버에 동기화할 필요가 있으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여 rsync 동기화 명령에 대해 학습해주세요.
[Linux/리눅스마스터] rsync 명령 활용 파일 또는 디렉토리 복제 동기화 예제 - 4(원격 서버 디렉토리
목차 리눅스 우분투 rsync 명령 활용 파일 또는 디렉토리 복제 동기화 예제 - 3(progress 옵션으로 동기화 진행률 표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리눅스 우분투 pip3 명령으로 파이썬 패키지 설치 리
salguworld.tistory.com
리눅스 우분투 netstat 현재 열린 tcp 포트 목록 확인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다음으로 이전 포스팅에서는 네트워크 상에서 현재 열린 TCP 포트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예제를 알아보았습니다. netstat 명령을 사용하여 시스템에서 현재 활성화된 TCP 포트들의 목록을 조회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네트워크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보안상 중요한 포트들을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만약 내가 TCP 포트를 오픈하는 서버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는데 네트워크 통신이 불가능하다면 TCP 포트가 정상적으로 열려있는 상태인지 확인해야합니다. 만약 리눅스의 netstat 명령 활용 예제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3.10.11 - [Linux] - [Linux/Ubuntu] 리눅스 우분투 netstat 현재 열린 tcp 포트 확인 예제(grep)
[Linux/Ubuntu] 리눅스 우분투 netstat 현재 열린 tcp 포트 확인 예제(grep)
목차 리눅스 우분투 sshpass 활용하여 비밀번호 자동입력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sudo 명령으로 관리자 권한 실행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scp 명령으로 원격
salguworld.tistory.com
리눅스 우분투 pip3 uninstall 명령으로 패키지 삭제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마지막으로 이전 포스팅에서는 pip3를 사용하여 설치한 패키지를 삭제하는 방법에 대한 예제를 알아보았습니다.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pip3 uninstall 명령을 사용하여 시스템에서 Python 패키지를 어떻게 삭제하는지에 대해 학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패키지를 정리하고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만약 파이썬 패키지를 pip3 install 명령으로 잘못 설치하였다면 uninstall 명령으로 삭제해야 스토리지 용량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해당 예제가 포함된 포스팅의 링크입니다.
2023.10.11 - [Linux] - [Linux/Ubuntu] 리눅스 우분투 pip3 패키지 삭제 예제(uninstall)
[Linux/Ubuntu] 리눅스 우분투 pip3 패키지 삭제 예제(uninstall)
목차 리눅스 우분투 scp 명령으로 원격서버에 로컬 파일 업로드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프로그램 실행시 환경변수 지정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pip3 명령
salguworld.tistory.com
리눅스 우분투 crontab에 원격 서버에 rsync 명령으로 디렉토리 동기화 예제
아래는 crontab을 사용하여 원격 서버에 있는 디렉토리를 정기적으로 동기화하는 예제입니다. rsync 명령을 crontab에 등록하여 특정 시간에 디렉토리 동기화 작업을 실행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동화된 백업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 crontab -e
...
* * * * * sshpass -p '원격서버 비밀번호' rsync -avz -e 'ssh -o StrictHostKeyChecking=no' --delete /tmp {원격서버 사용자명}@{원격서버 주소}:/tmp/31_tmp_sync/
리눅스 우분투 1분뒤 원격 서버에 파일들이 동기화된 것 확인 예제
아래는 파일이 원격 서버에 성공적으로 동기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예제입니다. 위 예제에서 rsync를 사용하여 파일들을 동기화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변경 사항을 확인합니다.
# 로컬 PC에서 tmp 디렉토리에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 cd /tmp
$ mkdir 11 22 33 44 55 66
# 1분뒤에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동기화 상태를 확인합니다
$ ssh {원격 서버 사용자명}@{원격 서버 주소}
$ cd /tmp/31_tmp_sync/tmp
$ ls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