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리눅스 우분투 톰캣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IP로 접근 차단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 리눅스 우분투 Apache 톰캣 로드밸런싱 설정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 리눅스 우분투 톰캣 War 배포 설정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 리눅스 우분투 /etc/skel 파일 수정하여 신규 사용자 추가시 기본 디렉토리 구조 변경 예제
- 리눅스 우분투 신규 사용자 추가하여 변경된 디렉토리 구조 확인 예제
리눅스 우분투 톰캣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IP로 접근 차단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예전 포스팅을 참고하면, 클라이언트 IP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예제가 포함되어있습니다. 리눅스 우분투에서 톰캣 서버를 운영 중이고 특정 IP에서의 접근을 막아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설정을 예제와 함께 소개했었습니다. 이 설정을 통해 안전하고 안정적인 서버 운영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만약 리눅스 우분투 환경에서 혹은 리눅스 환경에서 톰캣 웹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IP를 기준으로 식별하여 서버 접근을 차단해야한다면 아래 링크의 포스팅을 참고하여 학습해주세요.
2023.09.13 - [Linux/Tomcat] - [Linux/Tomcat] 리눅스 톰캣 7 특정 IP 접근 차단(ip 제한)
[Linux/Tomcat] 리눅스 톰캣 7 특정 IP 접근 차단(ip 제한)
목차 리눅스 우분투 톰캣 7 설치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톰캣 7 80 포트 설정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톰캣 7 HTTPS 설정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톰캣 특
salguworld.tistory.com
리눅스 우분투 Apache 톰캣 로드밸런싱 설정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다음으로 이전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우분투에서 Apache와 톰캣을 함께 사용하며 로드 밸런싱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로드 밸런싱은 서버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시켜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클라이언트가 10000명 이라고 했을 때 이 요청들을 1개의 톰캣 서버가 처리하기에는 부하가 너무 커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서비스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대신 받고, 톰캣 서버로 요청을 나눠주는 중계서버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환경 구성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여 학습해주세요.
2023.09.14 - [Linux/Tomcat] - [Linux/Tomcat] 리눅스 아파치 톰캣 로드밸런싱 설정 예제(tomcat, apache, load balance)
[Linux/Tomcat] 리눅스 아파치 톰캣 로드밸런싱 설정 예제(tomcat, apache, load balance)
목차 리눅스 톰캣 7 소스코드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아파치 AJP 톰캣 연동하기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쉘스크립트 사용자 입력받아 base64 인코딩, 디코딩하
salguworld.tistory.com
리눅스 우분투 톰캣 War 배포 설정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마지막으로 리눅스 우분투에서 톰캣 서버에 War 파일을 배포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거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때 중요한 내용입니다. 이전에 다뤘던 내용에는 War 파일 배포 과정과 설정에 대한 예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효율적이고 원활한 배포를 위한 기본 설정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ar 파일은 일종의 웹서버를 구성하기위한 클래스 파일들의 압축 파일입니다. 이러한 압축파일을 웹 서버에 올려 쉽게 배포가 가능합니다. 아래는 해당 포스팅의 링크입니다.
2023.09.14 - [Linux/Tomcat] - [Linux/Tomcat] 리눅스 톰캣 7 War 배포 예제(WAR deploy)
[Linux/Tomcat] 리눅스 톰캣 7 War 배포 예제(WAR deploy)
목차 리눅스 톰캣 7 키스토어로 P12 파일 생성하기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톰캣 7 키스토어 생성하기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톰캣 7 GET, POST 메소드 요청 차단하기 이전 포스팅 참고
salguworld.tistory.com
리눅스 우분투 /etc/skel 파일 수정하여 신규 사용자 추가시 기본 디렉토리 구조 변경 예제
새로운 사용자가 생성될 때 기본 디렉토리 구조를 변경하려면 /etc/skel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아래는 이 파일을 편집하여 신규 사용자가 생성될 때 원하는 디렉토리 구조로 설정하는 예제입니다. 이 설정을 통해 사용자의 리눅스 작업 환경을 효과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cd /etc/skel
$ sudo mkdir Documents Downloads CustomFolder
$ sudo touch Documents/readme.txt Downloads/sample.doc CustomFolder/custom_script.sh
$ ls
리눅스 우분투 신규 사용자 추가하여 변경된 디렉토리 구조 확인 예제
아래는 신규 사용자를 추가하고 해당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구조를 확인하는 예제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생성 후 디렉토리가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udo adduser newuser
$ su newuser
$ cd ~
$ ls
$ ls CustomF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