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내에서 다른 포스팅 검색하기기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목차

  1. 리눅스 우분투 swapon 명령으로 swap 파일 활성화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2. 리눅스 우분투 터미널에서 크롬 실행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3. 리눅스 우분투 apt로 설치한 패키지 삭제 실행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4. 리눅스 우분투 swapoff 명령으로 스왑 파일 비활성화 예제
  5. 리눅스 우분투 swapoff 모든 스왑 비활성화 설정 예제

 

 

 

 

 

 

 

 

 

리눅스 우분투 swapon 명령으로 swap 파일 활성화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리눅스 우분투에서 swapon 명령어를 사용하여 스왑 파일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swapon 명령어는 우분투 시스템에 추가된 스왑 파일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 메모리의 부족한 상황에서 스왑 공간을 활용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현재 메모리가 부족하여 프로그램 추가 실행이 불가능하거나 너무 버벅거리는 현상이 있다면 스왑 영역을 추가하여 보조적인 메모리를 증설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해당 포스팅의 링크입니다.

 

2023.11.30 - [자격증/리눅스마스터] - [Linux/리눅스마스터] swapon 명령으로 swap 파일 활성화 예제(현재 스왑 상태 확인)

 

[Linux/리눅스마스터] swapon 명령으로 swap 파일 활성화 예제(현재 스왑 상태 확인)

목차 리눅스 우분투 mkswap 스왑 파일 생성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리눅스 우분투 20.04에서 MariaDB 클라이언트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리눅스 우분투 데스크탑에서 터미널 프

salguworld.tistory.com

 

 

 

 

 

 

 

리눅스 우분투 터미널에서 크롬 실행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다음으로 우분투 터미널에서 명령을 입력하여 크롬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방법에 대한 예제를 이전 포스팅에서 알아보았습니다. 예제에서는 터미널을 사용하여 CLI(Command Line Interface)에서 크롬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터미널 환경에서 그래픽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학습해보세요. 윈도우 환경에서는 GUI 기반이라 크롬 브라우저 실행 방법이 너무나 간단하고 쉽지만 우분투에서는 헷갈릴 수 있는 요소가 있습니다. 만약 리눅스 우분투 환경에서 터미널을 이용하여 크롬 브라우저 실행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3.10.12 - [Linux] - [Linux/Ubuntu] 리눅스 우분투 터미널에서 크롬 브라우저 실행 예제(Chrome)

 

[Linux/Ubuntu] 리눅스 우분투 터미널에서 크롬 브라우저 실행 예제(Chrome)

목차 리눅스 lastlog 시스템 로그 파일 분석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sudoers 파일 수정하여 사용자 sudo 권한 부여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 passwd 명령으로 사용

salguworld.tistory.com

 

 

 

 

 

 

 

리눅스 우분투 apt로 설치한 패키지 삭제 실행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마지막으로 이전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우분투 환경에서 apt-get install 명령로 설치한 패키지를 삭제하는 방법에 대한 예제를 알아보았습니다. apt를 사용하여 설치한 패키지를 우분투에서 어떻게 삭제하는지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패키지를 제거하고 시스템 용량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아무래도 불필요한 우분투 패키지를 삭제하면 디스크 용량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 만약 디스크 용량이 부족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여 우분투 패키지 삭제 방법을 알아보세요.

 

2023.10.13 - [Linux] - [Linux/Ubuntu] 리눅스 우분투 apt 패키지 삭제 예제(apt remove)

 

[Linux/Ubuntu] 리눅스 우분투 apt 패키지 삭제 예제(apt remove)

목차 리눅스 우분투 df 명령으로 디스크 및 파티션 종류 확인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쉘스크립트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명 구하기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쉘스크립트 if

salguworld.tistory.com

 

 

 

 

 

 

 

리눅스 우분투 swapoff 명령으로 스왑 파일 비활성화 예제

아래는 swapoff 명령어를 사용하여 리눅스 우분투에서 스왑 파일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한 예제입니다. 이전에 활성화한 스왑 파일을 비활성화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이를 통해 우분투 시스템에서 스왑을 임시로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swapfile을 생성 후 활성화하였다고 가정한다.
$ sudo swapoff /swapfile

 

리눅스 우분투에서 swapoff 명령으로 활성화했던 스왑 파일을 비활성화 한 모습

 

 

 

 

 

 

리눅스 우분투 swapoff 모든 스왑 비활성화 설정 예제

아래는 swapoff 명령어를 사용하여 모든 스왑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한 예제입니다. 우분투에서 모든 활성화된 스왑 공간을 비활성화하고 시스템에서 스왑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sudo swapoff -a

 

리눅스에서 swapoff -a 명령으로 현재 활성화된 스왑 파일을 모두 비활성화하는 모습

반응형


살구엉덩이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