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리눅스 우분투 Apache 서버에 톰캣 서버의 AJP 시크릿 설정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 리눅스 우분투 Apache 서버의 HTTP 응답에서 아파치 버전 제거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 리눅스 우분투 Apache 디렉토리 차단 후 에러 페이지 리다이렉트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 리눅스 우분투 usermod 사용자의 주 그룹 변경 없이 다른 그룹에 추가 예제
- 리눅스 우분투 usermod로 사용자를 그룹에 추가후 결과 확인 예제
리눅스 우분투 Apache 서버에 톰캣 서버의 AJP 시크릿 설정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톰캣 서버와 Apache 서버 간의 통신은 AJP를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다뤘던 포스팅에서는 Apache 서버에 톰캣과의 통신을 보호하기 위해 AJP 연결에 시크릿을 설정하는 방법을 다뤘습니다. 이 설정을 통해 통신 시 보안을 강화할 수 있으며, 민감한 데이터 노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보통 클라이언트가 직접 톰캣 서버에 연결을 수행하지만 AJP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웹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대신 처리해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보안이 민감한 내부망에 외부에 존재하는 클라이언트가 직접 연결하지 않아도됩니다. 만약 Apache AJP 시크릿 설정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3.09.15 - [Linux/Tomcat] - [Linux/Tomcat] 리눅스 아파치 톰캣 AJP 시크릿 설정 예제(apache, secret)
리눅스 우분투 Apache 서버의 HTTP 응답에서 아파치 버전 제거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웹 서버의 보안을 위해 서버의 버전 정보를 감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전에 다뤘던 포스팅에서는 Apache 서버가 전송하는 HTTP 응답에서 서버 버전을 제거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이를 통해 서버의 버전 정보를 감추어 공격자들이 악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Wireshark 같은 패킷 캡처 도구를 활용하면 Apache 서버와 클라이언트 브라우저간 통신 내용이 그대로 유출될 수 있습니다. 암호화 통신이 아니라면 웹 서버의 버전이 노출되어 취약점 공격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만약 Apache 서버의 HTTP 응답에서 아파치 버전 제거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리눅스 우분투 Apache 디렉토리 차단 후 에러 페이지 리다이렉트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웹 서버에서 특정 디렉토리의 접근을 차단하고 사용자를 에러 페이지로 리다이렉트하는 것은 보안적인 측면에서 반드시 설정해야할 기능입니다. 이전에 다뤘던 포스팅에서는 Apache 서버에서 디렉토리를 차단하고 에러 페이지로 리다이렉트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이를 통해 민감한 정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고 사용자를 안전한 페이지로 안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하거나 악성 공격이 발생할 경우 이러한 오류 페이지로 리다이렉트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해당 포스팅의 링크입니다.
2023.09.15 - [Linux] - [Linux/Apache] 리눅스 아파치 디렉토리 차단 후 에러 페이지 리다이렉트 시키기 예제(RedirectMatch)
리눅스 우분투 usermod 사용자의 주 그룹 변경 없이 다른 그룹에 추가 예제
아래는 usermod 명령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다른 그룹에 추가하는 예제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권한을 관리하고 그룹에 따라 다른 파일 및 디렉토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usermod -aG {그룹명} {사용자명}
$ sudo usermod -aG wonseok newuser2
리눅스 우분투 usermod로 사용자를 그룹에 추가후 결과 확인 예제
아래는 usermod 명령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그룹에 추가한 후 해당 그룹의 권한이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하는 예제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그룹 소속과 권한이 정확히 반영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roups {소속된 그룹을 확인하고 싶은 사용자명}
$ groups newuser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