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리눅스 우분투 로컬 레포지토리 설정 및 패키지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 리눅스 top 활용하여 실시간 리소스 사용량 확인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 리눅스 Dialog 활용 다이얼로그 만들기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 리눅스 ll 명령 활용하여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크기 확인 예제
- 리눅스 ll 명령으로 다른 디렉토리 정보 출력 예제
리눅스 우분투 로컬 레포지토리 설정 및 패키지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 우분투에서 로컬 패키지 레포지토리를 설정하고 패키지를 설치하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학습해주세요. 로컬 레포지토리를 활용하여 패키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인터넷 사용이 불가능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우분투 패키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로컬 레포지토리를 구성하여 패키지를 설치해야합니다. 따라서 리눅스 우분투 환경에서 로컬 레포지토리 구성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3.08.03 - [Linux] - [Linux] 우분투 로컬 레포지토리 설정 및 패키지 설치 - 2(로컬 레포지토리 설정)
[Linux] 우분투 로컬 레포지토리 설정 및 패키지 설치 - 2(로컬 레포지토리 설정)
목차 이전 포스팅(우분투 패키지 다운로드) 로컬 레포지토리 디렉토리 생성 DEB 패키지 압축파일 압축해제 기존 레포지토리 파일 삭제 및 백업 로컬 레포지토리 설정 1. 이전 포스팅(우분투 패키
salguworld.tistory.com
리눅스 top 활용하여 실시간 리소스 사용량 확인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에서 top 명령어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시스템의 리소스 사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프로세스 및 자원 모니터링을 통해 시스템 성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top 명령은 내가 원하는 초, 분 단위로 CPU, 메모리 사용량을 누적하여 얼마나 사용하였는지 결과를 갱신해주는 유틸리티입니다. 따라서 리눅스 환경에서 실시간 CPU, 메모리 사용량 확인하는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3.08.03 - [Linux] - [Linux] top 활용 프로세스 CPU, 메모리 사용량 확인(정렬)
[Linux] top 활용 프로세스 CPU, 메모리 사용량 확인(정렬)
목차 리눅스에서 top란? 대표적인 top 명령어 설명 top 결과창 항목별 설명 프로세스 실시간 리소스 사용량 확인 예제 CPU 사용량 순서 정렬 메모리 사용량 순서 정렬 1. 리눅스에서 top란? top는 리눅
salguworld.tistory.com
리눅스 Dialog 활용 다이얼로그 만들기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리눅스에서 Dialog를 활용하여 다이얼로그를 만드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학습해주세요.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GUI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터미널 창에 색상, 폰트 등의 스타일을 변경하여 GUI 처럼 보여주는 CUI 입니다. 다만, 이러한 다이얼로그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리눅스 환경에서 다이얼로그 생성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3.08.03 - [Linux] - [Linux/Shell] 리눅스 Dialog 활용 다이얼로그 만들기(메뉴 선택)
[Linux/Shell] 리눅스 Dialog 활용 다이얼로그 만들기(메뉴 선택)
목차 리눅스의 Dialog 패키지란 Dialog 대표적인 명령 옵션 간단히 title 다이얼로그 만들기 예제 선택 메뉴 만들기 예제 메뉴 선택시 Shell 명령 처리하기 예제 1. 리눅스의 Dialog 패키지란 Dialog는 리눅
salguworld.tistory.com
리눅스 ll 명령 활용하여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크기 확인 예제
아래는 ll 명령어를 사용하여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과 크기를 확인하는 예제입니다. ll 로 간단하게 디렉토리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cd /tmp
$ ll
리눅스 ll 명령으로 다른 디렉토리 정보 출력 예제
아래는 ll 명령어로 다른 디렉토리의 정보를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간단히 인자로 다른 경로를 전달하면 됩니다. 다른 디렉토리의 내용을 살펴보고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속성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