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리눅스 우분투 /etc/skel 디렉토리 구조 변경하여 신규 사용자 기본 디렉토리 변경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 리눅스 우분투 Apache AJP 구성 및 톰캣 서버 연동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 리눅스 우분투 Makefile 문법으로 C 소스코드 컴파일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 리눅스 우분투 useradd 명령 실행시 -k 옵션으로 기본 디렉토리 구조 변경 예제
- 리눅스 우분투 신규 사용자 추가하여 디렉토리 변경 결과 확인 예제
리눅스 우분투 /etc/skel 디렉토리 구조 변경하여 신규 사용자 기본 디렉토리 변경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새로운 사용자가 생성될 때마다, 기본적인 환경과 디렉토리 구조를 사용자에게 맞게 변경하여 리눅스 커스텀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etc/skel 디렉토리는 새로운 사용자가 생성될 때, 이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복사되는 곳입니다. 이전에 작성한 포스팅에서는 이 디렉토리를 수정하여 새로운 사용자가 생성될 때 원하는 디렉토리 구조로 설정하는 방법을 다루었습니다. 이 설정을 통해 사용자가 시작하는 환경을 쉽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만약 리눅스 우분투 환경에서 신규 사용자 추가시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디렉토리 구조를 변경하는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3.11.27 - [자격증/리눅스마스터] - [Linux/리눅스마스터] /etc/skel 신규 사용자 추가시 기본 디렉토리 설정 예제(기본 디렉토리)
리눅스 우분투 Apache AJP 구성 및 톰캣 서버 연동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Apache 웹 서버와 톰캣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연동하는 것은 서버 구성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전의 포스팅에서는 Apache 웹 서버에서 AJP(톰캣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를 구성하고 톰캣 서버와의 연동을 설정하는 예제를 다루었습니다. 이 설정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할 때 안정적인 연결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보통 AJP 연동을 쓰는 이유는 부하를 분산하기 위해 로드밸런싱의 목적이 있습니다. 아파치 웹 서버에서 톰캣 서버로 향하는 부하를 분산하면서 서비스 운영을 조금더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해당 포스팅의 링크입니다.
2023.09.14 - [Linux/Tomcat] - [Linux/Tomcat] 리눅스 아파치 AJP 설정 및 톰캣 서버 연동 예제(tomcat, apche ajp)
리눅스 우분투 Makefile 문법으로 C 소스코드 컴파일 예제 이전 포스팅 링크 및 설명
Makefile은 C나 C++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스코드를 컴파일하는 데 도움을 주는 파일입니다. Makefile은 컴파일, 링크 및 실행 파일 생성과 같은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전의 포스팅에서는 Makefile 문법을 사용하여 C 소스코드를 컴파일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이를 통해 소스코드 관리 및 빌드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만약 Makefile 문법을 사용하여 각 C 소스코드를 컴파일하여 오브젝트 파일을 만드는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여 학습해주세요.
2023.09.15 - [Linux] - [Linux/C] 리눅스 Makefile 문법 C 소스코드 컴파일 및 오브젝트 생성 예제(Make)
리눅스 우분투 useradd 명령 실행시 -k 옵션으로 기본 디렉토리 구조 변경 예제
리눅스에서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할 때 'useradd' 명령을 사용합니다. '-k' 옵션을 이용하여 새로운 사용자가 생성될 때 /etc/skel 디렉토리의 설정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useradd' 명령어에 '-k' 옵션을 추가하여 새로운 사용자의 기본 디렉토리 구조를 변경하는 예제입니다.
$ mkdir /home/wonseok/custom_dir
$ cd /home/wonseok/custom_dir
$ mkdir 1 2 3 4
$ sudo useradd -m -k /home/wonseok/custom_dir newuser2
$ sudo passwd newuser2
리눅스 우분투 신규 사용자 추가하여 디렉토리 변경 결과 확인 예제
아래는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하고 해당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구조를 확인하는 예제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디렉토리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u newuser2
$ cd ~
$ 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