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 자바 스크립트 소스 코드 확인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 HSTS 적용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 실행 후 환경설정 창 이동 예제
- 윈도우 10 edge 방문기록 삭제 예제
- 윈도우 10 edge 캐시 데이터 삭제 예제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 설치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 주제는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에서 지금까지 접속했던 사이트 접속 기록 및 캐시 데이터를 삭제하는 예제입니다. 접속 기록이란 내가 A사이트 B사이트에 어제 접속했고 오늘은 C사이트에 접속했다는 기록이 컴퓨터 어딘가에 남아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기록을 삭제시켜 내가 어떤 사이트에 접속했는지 알 수 없도록 할 수 있습니다. 좋은 의미로 써야겠죠? 또한 캐시 데이터란 내가 A라는 사이트에 접속해서 다운로드받은 임시파일이라던지 접속했던 로그인 정보라던지 이러한 보안적인 요소들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오늘 예제를 따라하고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를 설치해주세요. 아직 설치하지 못하셨거나 방법을 모르신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3.08.25 - [Window] - [Window]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 설치 예제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 자바 스크립트 소스 코드 확인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에서는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여 어떤 자바 스크립트를 다운로드하여 화면을 구성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바로 검사 기능입니다.
검사 기능을 활용하여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에서 자바 스크립트의 코드 내용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사이트에 접속하여 네이버에서 내려준 자바 스크립트 코드를 확인하는 예제가 포함되어있습니다.
이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학습해주세요.
2023.08.25 - [Window] - [Window]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 웹 페이지 자바 스크립트 확인 예제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 HSTS 적용 예제 이전 포스팅 참고 학습
마지막으로 이전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에서 http 접속시 무조건 https 사이트로 접속하도록 설정하는 HSTS 정책 적용 예제를 알아보았습니다. 중간자 공격의 경우 강제로 http 통신을 하도록 하여 민감한 보안정보를 모두 빼가는 무서운 공격 기법입니다. 이러한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서 직접 브라우저에 hsts를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이전 포스팅 링크를 참고하여 학습해주세요.
2023.08.25 - [Window] - [Window]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 HSTS 적용 예제(net-internals)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 실행 후 환경설정 창 이동 예제
아래는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를 윈도우 명령으로 실행시켜 캐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방문기록을 삭제할 수 있는 환경설정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예제입니다.
오른쪽 ... 설정 버튼을 누르고 제일 하단의 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아래의 설정창에서 왼쪽 메뉴의 "개인 정보, 검색 및 서비스" 메뉴를 누릅니다.
윈도우 10 edge 방문기록 삭제 예제
아래는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에서 환경설정 페이지에 위치한 방문기록 삭제 예제입니다. 지금까지 접속했던 사이트들의 대한 정보들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위 예제에서 실행한 화면에서 "검색 데이터 지우기" 항목의 "검색 데이터 지금 지우기" 하위 버튼인 "지울 항목 선택"을 누릅니다. 그리고 삭제하고 싶은 항목을 설정하고 삭제합니다.
윈도우 10 edge 캐시 데이터 삭제 예제
아래는 윈도우 10 edge 브라우저에서 환경설정 페이지에 위치한 캐시 데이터 삭제 예제입니다. 자주 로그인했던 민감한 보안정보들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제와 동일하지만 쿠키, 캐시 파일 등을 선택하여 삭제합니다.